티스토리 뷰

아프지 마요, 내성발톱 '자가치료 방법 및 예방법' 따라해 보세요.

 

내성발톱이란, 발톱 끝이 살을 파고드는 현상으로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내향성 발톱이라는 질환으로, 흔히들 내성발톱, 파고드는 발톱, 족지발톱, 조갑 감입증이라고도 합니다. 

 

 

 

엄지 발가락의 발톱이 가장 넓기 때문에 내성발톱은 엄지발톱에서 90%정도 발현됩니다.

 

 

내성발톱

 

 

내성발톱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발톱은 앞으로 자라는 것이 기본인데, 발톱의 끝 부분이 여러 원인들로 인해 살을 파고들어 전진이 막히게 되어도 발톱이 계속 자라나기 때문에 결국 발톱 끝부분이 발가락 살을 찌르고 파고들게 되어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 중에 가장 많은 것이 '무좀'입니다. 

발톱 무좀균이 발톱의 영양균을 갉아 먹어 발톱이 딱딱해 지고 발톱이 수분을 잃어 가며 발톱이 뒤틀려 발가락 살쪽으로 자라나게 되어 내성발톱이 생기게 됩니다. 

 

 

내성발톱이 심하지 않은 경우, 자가치료 방법

 

내성발톱이 살을 파고들어 염증이 생기고 곪아서 고통이 생기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파고든 부분이 고통스러워 발톱을 길게 짜른다면 더욱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발톱을 함부로 자르지 말아야 합니다. 

 

 

 

 

 

발톱을 함부로 자르기 보다는 탈지면을 소독하여 작고 동그랗게 만 상태로 발톱 밑에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탈지면이나 면봉 솜 모두 괜찮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하루 정도 넣어 둔다면, 통증이 완화되고 발톱이 밀려나면서 제자리로 향하게 되어 내성발톱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하루에 한번씩 소독한 탈지면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보조적인 방법으로 내성발톱 증상이 생긴 발톱의 상처 방향 반쪽 윗면을 줄(야스리)로 갈아 내어 발톱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발톱의 두께를 얇게 만들어 발톱 아래 살에서부터 발톱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게만들어 휘어져 있는 발톱을 올곧게 만들고 옆에 묻혀 있던 발톱을 다시 튀어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위와 같은 자가치료 방법은 임시 자구책에 불과할 수 있으니, 발병 하면 병원에 가서 전문의와 상의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내성발톱 예방법

 

내성 발톱은 예방만이 살 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한 번 발병하면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죠.

 

예방법은 의외로 간단한데, 

 

첫 번째 발톱을 너무 짧 게 깎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발가락 살보다 약간 길게 일자 형태로 깎아주어야 합니다.

 

 

 

 

두 번째로 너무 작아 서 발이 조이는 신발을 피하고 특히나 하이힐을 오래 신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 발을 항상 청결히 유지해서 각질이나 굳은살 등이 발톱 주위에 없도록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네 번째로 과체중도 영향을 준다고 하니 체중 조절도 필요하겠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