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1년 한국사시험 일정, 자 알아봅시다.

 

한국사시험은 교육부 산하 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가 시험관리 및 시행하는는 시험으로, 한국사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고 검정하는 시험입니다.

 

정식명칭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며 줄여서 한국사시험이라고 합니다.

 

 

한국사시험 출제 유형

 

한국사시험의 출제 유형은 크게 여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 역사 탐구의 설계 및 수행,

② 역사 자료의 자료의 분석 및 해석,

③ 역사상황 및 쟁점의 인식,

④ 연대기의 파악,

⑤ 역사 지식의 이해,

⑥ 결론의 도출 및 평가입니다.

 

시험과목 및 방법

 

시험 종류는 심화과정 및 기본과정으로 치루어 집니다.

 

한국사 심화과정은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에 주요 사건과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역사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 학국사의 흐름 속에서 시대적 상황 및 쟁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한국사 기본과정은 기초적인 역사상식을 바탕으로 한국사의 필수지식과 기본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즉, 자신의 한국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화과정/기본과정을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한국사 시험 평가내용

 

 

두 과정의 시험 모두 100점 만점의 배점으로 총 50문항인데, 심화과정은 5지선다, 기본과정은 4지선다입니다.

 

한국사시험 시험 종류

한국사시험의 활용 및 특전

 

2012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혁신처에서 시행하는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에 응시자격 부여합니다.

 

2013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교원임용시험 응시 자격을 부여합니다.

 

국비유학생, 해외파견 공무원 선발 시 국사 시험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3급 이상 합격)으로 대체합니다.

 

2014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혁신처에서 시행하는 지역인재 7급 견습직원 선발시험에 추천자격 요건을 부여합니다.

 

한국사 시험 2021년 일정

 

2015년부터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에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2018년부터 군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국사 과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합니다.

 

2021년부터 7급 국가(지방)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합니다.

 

일부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직원 채용이나 승진 시 반영합니다.

 

일부 대학의 수시 모집 및 육군·해군·공군·국군간호사관학교 입시 가산점 부여합니다.

2021년 한국사시험 일정

 

2021년 한국사시험 일정은 구체적으로 공지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국사편찬위원회는 2021년 한국사시험을 6회 실시할 것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일정이 확인되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