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스라이팅(Gaslighting)의 의미, 뜻, 대처법을 알아보아요.

 

요즘 언론이나 뉴스에서 가스라이팅이라는 말이 자주 나오고 있는데요, 특히 그것이 알고싶다, 궁금한 이야기 Y 등 범죄나 시사문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어요.

 

가스라이팅이라는 말의 유래 및 의미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대상의 심리나 상황을 교모하게 조작하여 대상이 자신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정신적으로 예속화 하는 행동을 일컫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이를 우리말로 풀어쓴다면 '주입식 전세역전'이 될 수 있겠고, 한자어로는 '노예화'가 될 수 있겠네요.

 

 

 

 

일종의 세뇌를 이용한 정서적인 학대입니다. 사례로 알아보면 좀 더 쉽게 알 수 있겠네요.

 

가스라이팅의 유례

가스라이팅의 어원은 1938년 패트릭 해밀턴 연출의 연극 '가스라이트(GAS ligh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연극의 내용은, 잭이라는 남성이 자기 아내 벨라를 억압하는 이야기인데, 잭은 보석을 훔칠 목적으로 윗층의 부인을 죽이고, 보석을 찾기 위해 가스등을 켭니다. 가스등을 키면 다른 집의 가스가 공급되지 않아 불이 약해져 들킬 위험이 있어, 잭은 집안의 물건을 숨기고 부인벨라가 이를 잃어버린 것이라고 덮어 씌우고 벨라를 타박합니다. 이와 같은 타박이 이어지자 벨라 스스로도 의구심을 갖고 점점 무기력과 공허에 빠지게 됩니다. 

 

 

 

이와 같이 잭이 벨라를 심리적으로 몰아가고, 벨라가 스스로 의구심을 갖는 과정을 심리학적으로 정리한 것에서 '가스라이팅'이 유래된 것이죠.

 

 

 

가스라이팅 사례

대표적으로 위력에 의한 성폭력이나 데이트 폭력이 가스라이팅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부하직원이나 여자친구를 정서적으로 길들여, 이들을 정신적으로 지배하여 이를 이용하여 폭력을 자행하는 것을 가스라이팅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가스라이팅 단계

 

  • 관계 형성 : 가스라이팅 구사자들은 피해자와 가족, 친구, 직장상사, 애인 등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기억의 왜곡 : 가스라이팅 구사자들은 피해자가 실수를 저지를 때마다 상기시켜 자신 스스로를 불신하게 만듭닏마. 스스로의 판단을 의심하게 만드는 것이죠.
  • 미니마이징 : 피해자는 강한 반발을 하게됩니다.
  • 무시 : 가해자는 피해자가 별거 아닌 것으로 반발을 하고 있다는 취급을 하여, 피해자의 기억, 판단력, 감정까지도 의심하게 만들어서 피해자의 감정과 재산까지 통제하게 만듭니다. 

 

가스라이팅 극복법

 

  • 자존감 키우기 :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 존엄함을 찾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힘을 찾아야 합니다. 
  • 가해자의 전력을 이해하고 변호사 등 조력자를 찾을 것 : 주변을 환기시키고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조력자를 찾아야 합니다. 
  • 가해자와 싸우지 말고 회피할 것 : 가해자와 싸움을 한다면 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으니, 이를 회피하고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가해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빠져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 논리적으로 생각하기논리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그저 정치적으로만 판단해서 대처를 하면, 어느 순간 도저히 빠져나올 늪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